화석 모형 만들기

 
 

준비물

  • 찰흙
  • 조개 껍데기
  • 솔방울
 

실험과 관찰

    1. 찰흙을 바닥에 놓구 눌러 납작하게 만든다.

    2. 찰흙 위에 조개 껍데기를 올려놓는다.

    3. 조개 껍데기 위에 다시 찰흙을 올려놓고, 누른다.

    4. 위의 찰흙을 떼어낸 후 실제 조개 껍데기와 찰흙에 남은 조개 껍데기의 흔적을 비교한다.

    5. 솔방울로도 같은 과정을 반복한다.

 
 
 
 

왜 그럴까요?

 

    실제 조개 껍데기나 솔방울과 그것의 화석 모형은 어떤 점이 비슷하고, 어떤 점이 다른가요? 모양은 서로 비슷합니다. 반면, 화석 모형에는 색깔이 표현되지 않습니다.

 

 

    이 실험에서 만든 솔방울의 화석 모형과 실제 솔방울의 화석은 아주 비슷합니다.

 

 

    그것으로부터 이 실험에서의 모형을 만드는 과정과 비슷한 과정으로 실제 화석이 만들어졌다는 것을 짐작할 수 있습니다. 이 실험에서 사용한 찰흙은 지층에 해당됩니다. 생물이 지층 사이에서 누르는 힘을 받으며 굳게 되면 지층에 생물의 모습이 남게 됩니다.

 

 

    이때 대개 생물의 뼈나 껍질과 같이 딱딱한 부분이 화석으로 남습니다. 그 이유는 동물의 살과 같이 부드러운 부분은 금방 썩어 사라지기 때문에 자층에 자국을 남길 시간이 없기 때문입니다.

 

    scienceorc.net

 

 

 

 

    열린 과학 자료실 홈     생생 실험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