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소 전과 후의 부피 변화

 
 
 

초가 연소되면 기체의 부피는 늘어날까요? 줄어들까요? 아래 동영상을 관찰해보세요.

 

    scienceorc.net

 

병 안의 물의 높이가 올라갑니다. 즉, 기체의 부피가 줄어듭니다.

 

 

초가 연소될 때 산소 기체를 소비하고, 이산화탄소 기체를 만들어냅니다.

 

    scienceorc.net

 

기체는 종류에 상관없이 기체를 이루는 분자의 수가 같으면 부피가 같습니다.(같은 압력, 온도에서) 예를 들어, 산소 분자 천억 개의 부피와 이산화탄소 분자 천억 개의 부피가 같습니다. 그리고 기체의-를 이루는 문자의 수가 줄어들면 부피가 줄어들고, 분자 수가 늘어나면 부피가 커집니다. 언던 기체 분자인지 상관없이 기체 분자의 수에 따라 부피가 달라집니다. 연소 과정에서 산소 기체는 없어지고 이산화탄소 기체가 생기지요.

    (1) 만약 없어지는 산소 분자 수에 비해 생기는 이산화탄소 분자 수가 더 많다면? ⇒ 부피가 커진다.
    (2) 만약 없어지는 산소 분자 수에 비해 생기는 이산화탄소 분자 수가 같다면? ⇒ 부피가 거의 변하지 않는다.
    (3) 만약 없어지는 산소 분자 수에 비해 생기는 이산화탄소 분자 수가 작다면? ⇒ 부피가 작아진다.

 

    scienceorc.net

 

연소 후에 기체 부피가 줄어드는 실험 결과로부터 없어진 산소 기체의 분자 수가 생긴 이산화 탄소 분자 수보다 많아, 연소 전에 비해 연소 후에 기체 분자 수가 줄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실제로 탄소와 수소로 이루어진 초가 산소(기체)에 의해 연소되면 이산화탄소(기체)와 물이 생기는데, 산소 기체의 일부가 물을 만드는데 사용됩니다. 따라서 산소 분자 수보다 작은 수의 이산화탄소 분자가 생기게 됩니다. 그 결과 연소 전에 비해 연소 후 기체의 부피가 줄어듭니다.

 

 

 

 

 

  학습 자료실     이전 공부방     다음 공부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