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앞의
[산성
수용액과 염기성 수용액의 성질]에서는
산성 수용액과 염기 수용액이 보여주는 성질만을 살펴보았습니다. 이
자세히 보기에서는 산성 수용액과 염기성 수용액 안에 존재하는 입자들이
어떻게 다른지 살펴봅니다. |
||
|
||
|
||
그렇다면 중성의 물에는 H+ 와 OH-가 모두 있는 것인데 왜 중성일까요? 그것은 중성의 물에 있는 H+ 이온의 수와 OH- 이온의 수가 같기 때문입니다. |
||
|
||
|
||
|
||
한편 산성 수용액에는 OH- 이온은 전혀 없고 H+ 이온만 있는 걸까요? 그렇지 않답니다. 산성 수용액에도 OH- 이온과 H+ 이온이 모두 있습니다. 그런데 왜 산성이냐구요? 그것은 산성 수용액에는 OH-이온보다 H+ 이온의 수가 더 많아 H+의 성질이 더 두드러지기 때문이랍니다. |
||
|
||
|
||
|
||
그렇다면 염기성 수용액에서는 어떤 일이 일어나는지 짐작이 가지요? 염기성 수용액에도 OH- 이온과 H+ 이온이 모두 있습니다. 그런데 염기성 수용액에는 OH- 이온의 수가 H+ 이온의 수보다 더 많아 OH-의 성질이 더 두드러지는 것이랍니다. |
||
|
||
|
||
|
||
정리해
볼까요? |
||
|
||
|
||